최충서예대전 자료실 최충서예대전 > 최충서예대전 자료실
         

계이자시(戒二子詩) 

최충 선생은 두 아들에게 계이자시를 남기었다. 선비가 세력으로 출세하면 유종의 미를 거두는 일이 드물고 文德으로 영달해야 경사인 것이라고 훈계하니 최충 선생의 후학들에게도 정신적 규범이 되어 오늘날까지 전해온다.


吾今戒二子 付與吾家珍      이제 두 아들에게 훈계하노니, 우리 집안의 보배로 삼아라.

淸儉銘諸己 文章繡一身      청렴과 검소함을 각자 몸에 새기고, 문장으로 온 몸을 장식하여라.

傳家爲國寶 繼世作王臣      집안에 전하여 나라에 보배가 되고, 대를 이어 어진 신하가 되어라.

莫學紛華子 花開一向春      사치와 허영은 배우지 말라, 꽃은 봄을 향해 한동안 피느니라.

家世無長物 惟傳至寶藏      집안에 전하는 귀한 물건은 없으니, 오직 지극한 보배로 간직하여 전하라.

文章爲錦繡 德行是珪璋      문장으로 부귀(錦繡)를 누리고, 덕행으로 공명(珪璋)을 이루어라.

今日相分付 他年莫敢忘      오늘날 너희에게 분부하노니, 두고두고 감히 잊지 말거라.

好支廊廟用 世世益興昌      나라에 동량으로 공헌하며, 자손만대에 더욱 흥하고 창성하여라.

 

----------------------------------------------------------------------------------------------------------------------------------------------------------

▣ 칠언절구

 

滿庭月色無烟燭 入座山光不速賓       뜰에 가득한 달빛은 연기 없는 촛불이요   

만정월색무연촉 입좌산광불속빈       자리에 드는 산 빛은 초대(招待)하지 않은 손님이네 

 

更有松絃彈譜外 只堪珍重未傳人       다시 소나무 현이 있어 악보 밖의 곡을 연주하느니  

갱유송현탄보외 지감진중미전인       다만 보배로이 여길 뿐 사람에겐 전할 순 없네    

 

----------------------------------------------------------------------------------------------------------------------------------------------------------

 

御苑種仙桃詩 어원종선도시  -  임금 정원에 선도(仙桃)를 심다.

 

고려 현종21庚午 4月 甲午에 왕이 문덕전(文德殿)에 납시어 복시(覆試)를 주관하였는데 이때 최유선 선생이 지은시로 가 모두 의 마음에 만족하여 곧 어필(御筆)로 일등합격을 매기고, 을과독보제일명(乙科獨步第一名)으로 뽑아 七品관급을 주어 한림원(翰林院)에 들게 했다. (보한집)

 

御苑桃新種  移從閬苑仙         어원(御苑)에 복숭아를 새로 심으니   

어원도신종 이종랑원선        낭원(閬苑)의 선도(仙桃)를 옮겨 왔네.  

結根丹地上  分影紫庭前         뿌리는 단지(丹地)에 서렸고 

결근단지상 분영자정전        그림자는 자정(紫庭궁정앞에 나뉘었네. 

細葉看如花  繁英望欲燃         가는 잎은 그림처럼 보이고 

세엽간여화 번영망욕연        번성한 꽃은 타는 듯하네. 

品高鷄省樹  香接獸爐烟         품위는 계성(鷄省)의 나무보다 높고   

품고계성수 향접수로연        향기는 수로(獸爐)의 연기에 접했네.  

天近先春茂  晨淸帶露鮮         하늘이 가까워 봄은 먼저 무성하고 

천근선춘무 신청대로선       새벽이 맑아 이슬 띠도 곱네. 

是應王母獻  聖壽益千年         이는 서왕모(西王母)가 바친 것이니 

시응왕모헌 성수익천년       임금의 수()는 천년을 더하소서. 

  

문헌공 최충 선생 長子 문화공 최유선(崔惟善) 지음. 

----------------------------------------------------------------------------------------------------------------------------------------------------------

乙壯元甲壯元을 부축하네

 

문종22년에 문헌공(文憲公) 최충(崔冲) 선생은 장원급제 후 오랜 관직생활을 거쳐 문하시중, 내사령(이후에 내사성을 중서성으로 개칭)으로 치사하였고, 長子 최유선(崔惟善) 선생은 장원급제 후 중서령(中書令)으로 있었고, 次子 최유길(崔惟吉)공은 수사공(守司空섭상서령(攝尙書令)으로 있을때 왕이 나라의 원로(元老)에게 연회를 베푸는 국로연(國老宴)에서 두 정승 아드님들이 문헌공을 부축하고 들어서는 광경이 영광스러워 한림학사 김행경(金行瓊)이 이 장면을 그리는 시를 지었는데 지금도 전해 내려오고 있다(고려사열전, 보한집)

 

紫綬金章子及孫 자수금장자급손       자수와 금장은 아들과 손자에 미치고   

共陪鳩杖醉皇恩 공배구장취황은       함께 구장을 모시면서 황은에 취했네.  

尙書令侍中書令 상서령시중서령       상서령이 중서령을 모시고  

乙壯元扶甲壯元 을장원부갑장원       을장원이 갑장원을 부축하시네. 

曠代唯聞四人到 광대유문사인도       오랜 대를 걸쳐서는 오직 네 사람에 이르렀다고 들었는데  

一門今有兩公存 일문금유양공존       지금은 한 가문에 兩公이 있네. 

家傳冢宰猶爲罕 가전총재유위한       집안에서 재상이 이어나기도 드문 일이거늘  

世襲魁科最可尊 세습괴과최가존       대를 물려 이어나는 장원은 더 없이 훌륭하다. 

幾日縉紳相藉藉 기일진신상자자       진신들의 칭찬이 언제까지 자자하려나  

今朝街路更喧喧 금조가로갱훤훤       오늘 아침 길거리가 다시금 떠들썩해지네. 

聯翩功業流靑史 연편공업류청사       잇따른 공업(功業)이 청사(靑史)에 흐르니 

雖禿千毫不足言 수독천호부족언       자루의 붓이 닳은들(禿어찌 다 말하겠는가.   

 

한림학사 김행경(翰林學士 金行瓊) 지음.

 

----------------------------------------------------------------------------------------------------------------------------------------------------------

고죽(孤竹) 최경창(崔慶昌 해주최씨 19世) 

삼당시인의 한사람인 고죽 최경창과 기행 홍랑의 사랑으로 유명. 홍랑의 '못버들 갈해 것거' 를 한역한 '번방곡(飜方曲)' 이 있다. 

 

飜方曲번방곡             고죽 최경창

 

折楊柳寄與千里人     절양류기여천리인      버들을 꺽어 천리 먼 사람에게 부치나니

        위아시향정전종        나를 위해 시험삼아 뜰 앞에 심어보오

須知一        수지일야신생엽        모름지기 아소서 하루 밤 새로 난 잎이

身        초췌수미시접신        초췌하고 수심어린 눈썹을 한 첩의 몸인것을

 

묏버들 갈해 것거         홍랑 

 

묏버들 가려 꺾어 보내노라 님에게 

자시는 창()밖에 심어 두고 보소서

밤비에 새잎 나거든 나인가 여기소서

 

----------------------------------------------------------------------------------------------------------------------------------------------------------

<1회 해동공자 최충 문학상 일반부 최우수상>

 

달빛마당                       박수봉(수원시 권선구 금곡로)

 

돌계단 밟아 문헌서원 가는 길

청잣빛 하늘이 고려 같았다

 

나무들이 뚜벅뚜벅 걸어 들어간 숲속에 내가 아는 고려가

있다 하늘에 화문으로 박혀 있는 낮달이 희미한 몇 세기를

이곳에다 풀어놓고 짐짓 모른 체 돌아갔다 계절이 시끄럽게

울고 있는 것은 나무들을 고려한 감정일 것이다

 

서원 뜰 가득히 달빛 걸어놓고 계절풍의 바람이 소나무 현을

튕긴다 수십 세기를 건너온 악보 없는 연주가 층계 밑 배롱나

무의 눈시울을 적신다 촛불을 켜놓고 달빛마당 서성였을

월포(月圃)*의 외로움도 저렇게 붉었겠다

 

촛불이 질 때까지 세우지 못한 시의 등뼈가 화석으로 뒹구는

, 여물지 못한 세상, 벌어진 옷섶을 꼭꼭 여며주던 시인의

문장들은 한줌 재로 사라졌다 전염병처럼 불어 닥친 회오리

바람, 분서(焚書)의 매운 연기가 세상을 덮고 사람들은 연신

눈시울을 훔쳤다 연기로 뒤덮인 불가역적 길 위에서 시인은

줄곧 말을 잃었다

 

저녁 숲이 꺼내어 놓은 별곡체의 음률이 배롱나무 옷자락을

흔든다

丹心, 꽃잎은 지면서도

얼마나 입술을 깨물었는지 바닥까지 벌겋게 핏물이 배었다

 

바람의 유골이 흩어져 있는 서원의 달빛마당

월포의 도포자락 품 넓은 그림자가 소매를 털고

가만히 방문을 연다

달 한 조각 쥐고 등을 보이며 걸어가는

새벽 어깨 사이로 고려의 뒷모습이 어른거린다.

 

----------------------------------------------------------------------------------------------------------------------------------------------------------

<3회 해동공자 최충 문학상 초등부 최우수상>

 

최충 할아버지        최문결 (해주최씨 38/서울 신미림초)

 

최충 할아버지

동상을 보았다

책을 들고

서 계셨다

바람이 세게 불었다

할아버지가 든 책은

책장이 날아가지 않았다

할아버지가 바람보다

힘이 세다

할아버지가 훌륭한

학자니까

힘이 센 것이다

 

----------------------------------------------------------------------------------------------------------------------------------------------------------

석곡란石斛蘭               최운선

 

난향의 분무기로 한 살이 산다해도

석곡란 여린꽃잎 시간을 견뎌낼까

눈을 꼭 감고 감아도 쓰러질까 애닲다

 

글을 쓰는 마음으로       최운선

 

밤엔

별도 떠있다

달도 떠있다

어느새

별과 달은

나와 함께

정다운

동무가

되어

밤새도록

재미나는 이야기를

주고받는다

그러면

나는

글을 쓴다.

어느 덧

나의 마음은

잔잔한 호수와 같이

잔잔해지고

글을 쓸 때

나의 마음은

천사가 되어간다